재부팅 이후 네트워크를 통한 ADB 연결 불가일반적으로 장비들은 ADB(Android Debug Bridge)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기본 설정으로 열어두지 않습니다.이는 기본적인 보안 조치 때문인데요, 오드로이드 M2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이전 글(https://god-logger.tistory.com/201)에서 설정한 방법대로 진행했음에도, 재부팅 후 네트워크를 통한 ADB 연결이 끊어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오드로이드 M2 안드로이드 13 네트워크 ADB 연결Android Debug Bridge안드로이드 기기를 개발하거나 디버깅할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안드로이드 SDK에 포함된 명령줄 유틸리티죠. 개발자가 컴퓨터를 통해 안드로이드 디바이스나 에뮬레이터에god-logger..
Android Debug Bridge안드로이드 기기를 개발하거나 디버깅할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안드로이드 SDK에 포함된 명령줄 유틸리티죠. 개발자가 컴퓨터를 통해 안드로이드 디바이스나 에뮬레이터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기능명령어앱 설치 및 제거 adb install파일 전송adb push쉘adb shell로그 확인adb logcat기기상태 확인 adb devices기기 재부팅adb rebootADB 사용 방법 오드로이드 M2에 제조사에서 제공한 안드로이드 13을 설치한 경우, 기본적으로 ADB는 USB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USB ADB 포워딩이 비활성화 되어있어 처음엔 USB C 를 이용하여 접속합니다. 오드로이드의 경우..
APU에서 GPU Passthrough? AMD의 APU(내장 그래픽이 포함된 CPU)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Proxmox를 통해 GPU Passthrough를 구현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로 여겨져 왔습니다.대부분의 APU 사용자들은 VM환경에서의 GPU Passthrough를 시도하였지만, 대게 실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설령 성공하더라도 서버를 재부팅하면 설정이 풀린다거나 그전까진 재실행이 안되는 일회성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습니다.그렇기에 VM이 아닌 LXC에서만 Passthrough를 통해 jellyfin 내 트랜스코딩(Transcoding) 정도까지만 사용하는 정도였습니다.하지만 드디어 VM에서도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게 되었고, 직접 테스트를 통해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글을 읽기 전 RustDesk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https://god-logger.tistory.com/185 RustDesk: 강력한 오픈소스 원격 제어 도구의 모든 것RustDesk란 무엇인가?RustDesk는 오픈소스 원격 데스크톱 소프트웨어로, 사용자가 다른 컴퓨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해줍니다.2021년에 처음 공개된 이 도구는 Rust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어god-logger.tistory.comRustDesk와 릴레이 서버: 왜 구축해야 할까?RustDesk는 강력한 오픈소스 원격 데스크톱 소프트웨어로, 기본적으로 P2P(Point-to-Point) 연결을 통해 두 장치 간 직접 통신을 시도합니다. 하지만 방화벽, NAT(Network Add..
RustDesk란 무엇인가?RustDesk는 오픈소스 원격 데스크톱 소프트웨어로, 사용자가 다른 컴퓨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해줍니다.2021년에 처음 공개된 이 도구는 Rust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어 성능과 보안 면에서 뛰어난 특징을 자랑합니다.TeamViewer, AnyDesk, Windows RDP(Remote Desktop Protocol), VNC(Virtual Network Computing)와 같은 기존 원격 제어 도구와 경쟁하며, 특히 개인 사용자와 기업 모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를 제공합니다.RustDesk의 핵심은 P2P(Point-to-Point) 연결을 기본으로 하되, 필요 시 사용자 지정 릴레이 서버를 통해 연결을 중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환경에 관계..
오드로이드 M2 인증 상태오드로이드 M2 의 Google Apps ( GApps) 를 설치했다면, 분명 미인증 기기이므로 사용이 불가하다는 메세지를 확인했을 것 이다.산업용 안드로이드 기기의 경우 인증하는 법을 사실 Google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다. 위 사진과 같이 '로봇이 아닙니다.' 위에 있는 Input 영역에 Android ID를 넣어주면 끝. 위 사이트는 아래의 주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https://www.google.com/android/uncertified/ 로그인 - Google 계정이메일 또는 휴대전화accounts.google.com 설정 방법안드로이드 자체 활용 ( 안드로이드 내에 터미널 에뮬레이터가 있는 경우 )터미널 에뮬레이터 실행관리자 권한 획득sugservice.db ..
하드커널 오드로이드 M2 구매기회사에서 다양한 교육 & 산업용 SBC를 테스트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ARM 칩셋을 보유하는 제품들 중 Rock Chip 사의 RK3588 시리즈 칩셋을 사용하는 제품들을 구매하게 되었는데 그중 국산 제품인 오드로이드 M2 를 먼저 구동 해 볼 기회가 생겼다. 마침 사고 싶은 제품이였는데 잘 된 셈이다.기존엔 라즈베리파이5 와 함께 Electron Framework 로 구현한 앱을 이용하고 있었는데, 성능 등에 있어 나쁘진 않지만, 아무래도 웹으로 렌더링을 표현해야한다는 점에서 크로미움 정책으로 인해 프레임 처리 및 표시가 조금 불안정함을 느끼기도 했고,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이 들었다.정말 말도 안되는 요구사항들이 하필 안드로이드쪽..
픽카 - Mac OS 컬러 픽커 프로그램 그동안 많은 컬러 픽커 프로그램을 사용해왔지만, 가장 애용하는 앱으로 pikka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중이다.피커 프로그램은 다른건 필요없고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컬러값을 확인하면 되는데 그런 기본 기능을 잘 제공하고 있다.최초 구동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이는데, 원하는 단축키를 지정할 수 있다. 우리가 제일 많이 사용할 기본기능은 사실 Show magnifier 이다. 나머진 뭐 프로그램 켜서 봐도 무관하다. 그 뒤, 기본 컬러 포멧 (표현방식)을 선택하자.권한 허용처리는 필수이다.이후 기타 선택사항들을 여쭤보고 마지막에 프로여부를 묻는데 무료로 쓰고 싶은 경우 X를 눌러주면 된다.이제 단축키를 눌러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보자. 다운로드 ( 앱스토어 ) http..
원인운영체제에 있는 기본 폰트가 인식을 제대로 못하는거로 확인된다.해결 방법다른 폰트 설치해주면 되는데 내 경우 fonts-nanum 을 설치해 성공했다.일반 설치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fonts-nanumsudo systemctl restart jellyfin이후 아래 사진과 같이 라이브러리 스캔 처리도커/usr/share/fonts/truetype 를 볼륨컨테이너로 따로 뺀 뒤, 빠진 폴더에 nanum 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아래 그림과 같이 폰트를 넣어주자.
설치방식대부분 Jellyfin 설치시 도커를 추천한다.하지만 내 경우에는 Proxmox 컨테이너를 사용할 예정이다.물론 Proxmox 안에 도커를 설치해 편하게 세팅할 순 있지만이미 가상컨테이너에 내부에 도커를 올려 또 그 안에 가상컨테이너를 사용하는 방식은 Proxmox 에서도 권장하지 않는 방식이다. 고로 나는 일반 방식 설치를 진행할 예정이다. 오픈소스 시노비 공식홈페이지에서는 이런 방식을 ninja-way라고 하더라...1. 권한 없는 컨테이너 체크 해제 하여 LXC 컨테이너 생성2. LXC iGPU Passthrough pve 쉘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cd /etc/pve/lxcnano {설정할 LXC 번호}.conf마지막 줄에 아래 문구 추가lxc.cgroup2.devices.all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