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및 서버/Odroid M2

재부팅 이후 네트워크를 통한 ADB 연결 불가일반적으로 장비들은 ADB(Android Debug Bridge)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기본 설정으로 열어두지 않습니다.이는 기본적인 보안 조치 때문인데요, 오드로이드 M2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이전 글(https://god-logger.tistory.com/201)에서 설정한 방법대로 진행했음에도, 재부팅 후 네트워크를 통한 ADB 연결이 끊어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오드로이드 M2 안드로이드 13 네트워크 ADB 연결Android Debug Bridge안드로이드 기기를 개발하거나 디버깅할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안드로이드 SDK에 포함된 명령줄 유틸리티죠. 개발자가 컴퓨터를 통해 안드로이드 디바이스나 에뮬레이터에god-logger..
Android Debug Bridge안드로이드 기기를 개발하거나 디버깅할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안드로이드 SDK에 포함된 명령줄 유틸리티죠. 개발자가 컴퓨터를 통해 안드로이드 디바이스나 에뮬레이터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기능명령어앱 설치 및 제거 adb install파일 전송adb push쉘adb shell로그 확인adb logcat기기상태 확인 adb devices기기 재부팅adb rebootADB 사용 방법 오드로이드 M2에 제조사에서 제공한 안드로이드 13을 설치한 경우, 기본적으로 ADB는 USB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USB ADB 포워딩이 비활성화 되어있어 처음엔 USB C 를 이용하여 접속합니다. 오드로이드의 경우..
오드로이드 M2 인증 상태오드로이드 M2 의 Google Apps ( GApps) 를 설치했다면, 분명 미인증 기기이므로 사용이 불가하다는 메세지를 확인했을 것 이다.산업용 안드로이드 기기의 경우 인증하는 법을 사실 Google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다. 위 사진과 같이 '로봇이 아닙니다.' 위에 있는 Input 영역에 Android ID를 넣어주면 끝. 위 사이트는 아래의 주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https://www.google.com/android/uncertified/ 로그인 - Google 계정이메일 또는 휴대전화accounts.google.com 설정 방법안드로이드 자체 활용 ( 안드로이드 내에 터미널 에뮬레이터가 있는 경우 )터미널 에뮬레이터 실행관리자 권한 획득sugservice.db ..
하드커널 오드로이드 M2 구매기회사에서 다양한 교육 & 산업용 SBC를 테스트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ARM 칩셋을 보유하는 제품들 중 Rock Chip 사의 RK3588 시리즈 칩셋을 사용하는 제품들을 구매하게 되었는데 그중 국산 제품인 오드로이드 M2 를 먼저 구동 해 볼 기회가 생겼다. 마침 사고 싶은 제품이였는데 잘 된 셈이다.기존엔 라즈베리파이5 와 함께 Electron Framework 로 구현한 앱을 이용하고 있었는데, 성능 등에 있어 나쁘진 않지만, 아무래도 웹으로 렌더링을 표현해야한다는 점에서 크로미움 정책으로 인해 프레임 처리 및 표시가 조금 불안정함을 느끼기도 했고,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이 들었다.정말 말도 안되는 요구사항들이 하필 안드로이드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