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DEXEc%2FbtsKWO8xJ5z%2FKNILkp2Xu0ZRWHlpNcyNHK%2Fimg.png)
설치방식대부분 Jellyfin 설치시 도커를 추천한다.하지만 내 경우에는 Proxmox 컨테이너를 사용할 예정이다.물론 Proxmox 안에 도커를 설치해 편하게 세팅할 순 있지만이미 가상컨테이너에 내부에 도커를 올려 또 그 안에 가상컨테이너를 사용하는 방식은 Proxmox 에서도 권장하지 않는 방식이다. 고로 나는 일반 방식 설치를 진행할 예정이다. 오픈소스 시노비 공식홈페이지에서는 이런 방식을 ninja-way라고 하더라...1. 권한 없는 컨테이너 체크 해제 하여 LXC 컨테이너 생성2. LXC iGPU Passthrough pve 쉘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cd /etc/pve/lxcnano {설정할 LXC 번호}.conf마지막 줄에 아래 문구 추가lxc.cgroup2.devices.all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