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갓 윈도우의 경우 바로 오른쪽 버튼 컨텍스트 메뉴를 통해 폴더를 열 수 있도록, 설치 시 바로 등록하게 해두었지만, 아쉽게도 맥OS의 경우에 VsCode는 그렇지 못하다. 조금 귀찮지만 아래 방법을 통해 설정이 가능하다. 거두절미하고 바로 세팅법에 대해 공유한다. 설정 방법 Launch Pad - 기타 - Automator 실행 실행 후 파일 저장 공간 지정이 있는데 원하는 곳 아무 곳이나 상관없다. 빠른 동작 클릭 현재 수신하는 작업 흐름 : 파일 또는 폴더 / 선택항목 위치 : Finder.app / 이미지, 색상은 취향에 따라 설정 오른쪽 목록중에 파일 및 폴더 / Finder 항목 열기를 드래그 & 드랍 후, 위 사진처럼 Vs Code를 지정 후 Save ( Cmd + S ) 컨텍스트 메뉴에 뜰..
확인되지 않은 개발자가 배포했기 때문에 열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Mac Os 는 App Store에서 받지 않고 외부에서 받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위와 같은 메세지 창이 노출된다. 일반적인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실 악성코드일지도 모르는 경고 메세지 때문에 지레 겁을 먹을 순 있는데, 사실 겁을 먹고 설치하지 않아 데이터를 보호하게 하기 위함이니 검증되지 않은 사이트에서 받은 설치파일은 당연히 설치하지 않도록 하자. 그게 아니라면 아래와 같이 설정을 통해 [확인없이 열기] 처리를 해주면 정상적으로 실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처리는, 최초 실행시에만 처리하면 이후에는 신경 쓸 필요는 없다. 개발자의 경우 처리 방안 더보기 개발자의 경우 코드사인 인증서를 적용하면 해결될 수 있다고 알고 있다. 하지..
· 뉴스
공식 사이트 https://bun.sh 설명 Javascript / Typescript 에 대한 all In one ToolKit. 특징 Node.js, Deno, webPack, vite, jest, karma, npm, yarn 을 일괄 대체 ( 런타임 / 패키지매니저 / 번들러 / 테스터 기능을 제공 ) Node.Js와 같이 V8 엔진이 아닌 Apple JavascriptCore 사용 zig 기반 작성 자바스크립트, 타입스크립트 ( with JSX )를 지원. (Typescript 유형 검사 실행시 기존에 비해 30% 빠름) nodemon 을 대체할 수 있는 watch mode 기본 제공 sqlite 기본 내장 ( bun:sqlite ) 각종 모듈 지원 ( ts, tsx, js, mjs, cjs 등..
### Cause: com.mysql.cj.jdbc.exceptions.PacketTooBigException: Packet for query is too large (14,209,738 > 4,194,304). You can change this value on the server by setting the 'max_allowed_packet' variable. ; Packet for query is too large (14,209,738 > 4,194,304). You can change this value on the server by setting the 'max_allowed_packet' variable.; nested exception is com.mysql.cj.jdbc.exceptions..
윈도우의 경우 pickpick 이라는 프로그램을 주로 사용해왔다. Mac OS 로 넘어오면서부터는 기본 스크린캡쳐 기능을 사용했는데, 윈도우와 달리 별도 서드파티 앱을 설치할 필요를 느끼지 못할정도로 완성도가 높아 애용하였다. 하지만, 스크린캡쳐 이후 편집 기능이 필요한 상황에선 여간 불편한게 아니였는데 이를 보안해주기 위해 Lightshot Screenshot 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왔다. 위 프로그램은 앱스토어에서도 받을 수 있는데, 무료에 나쁘진 않지만 해당 프로그램을 m1 이상의 arm 기반 프로세서에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 그 유명한 로제타2를 설치해야하는게 필수이다. 소문처럼 워낙 로제타2가 잘 나와서 사실 큰 이슈는 아니지만, 아무래도 m1,m2 기반에서 이젠 로제타 설치를 안해도 되지 않나 ..
· 이슈
Mac OS 의 경우 파이썬 내에서 한글폴더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한글표기방식을 윈도우의 경우 NFC(Normalization Form Canonical Composition)로 맥에서는 NFD(Normalization Form Canonical Decomposition)로 표기되기 때문이다. NFD는 자모음을 각각 저장하는 방식이고, NFC는 완성된 하나의 문자를 저장하는 방식이라 이해하면 쉽다. 윈도우와 Mac Os 간의 한글 파일 전송,수신시에도 파일명이 깨져보이는 현상을 경험해본 적 있을텐데 OS마다 다른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보니, 이런 이유 때문에 불편한 경우가 잦게 있는 편이다. 파이썬에서 폴더를 담고 있는 '경로' 라는 변수가 있다. print(경로) # /User..
· 이슈
해결방법 preferences ( cmd + , ) - 버전관리 - 커밋 - 코드분석 체크 해제
Electron Framework 를 VsCode에서 개발진행하는 경우 디버깅을 하기 위해서는 설정이 필요하다. 다음 그림과 같이 내부 .vscode 폴더를 만든 후 launch.json 파일을 만들어준다. launch.json 내용은 다음과 같다. { "version": "0.1.0", "configurations": [ { "name": "Debug Main Process", "type": "node", "request": "launch", "cwd": "${workspaceFolder}", "runtimeExecutable": "${workspaceFolder}/node_modules/.bin/electron", "windows": { "runtimeExecutable": "${workspaceFo..
· 학습
프론트엔드 업무를 진행하다보면, 무수한 좌표들 가운데 최종 폴리곤 라인을 따야하는 경우가 왕왕 발생한다. 이때 사용하는 방법이 convex hull 알고리즘이다. Convex Hull은 점 집합을 둘러싸는 최소한의 볼록 다각형을 찾는 컴퓨터 과학 알고리즘이다. 이 볼록 다각형은 주어진 점 집합을 포함하며 모든 내부 각이 180도 이하인 다각형이다. Convex Hull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며, 기하학, 이미지 처리, 컴퓨터 비전, 로봇 공학, 지리 정보 시스템 (GIS) 등에서 사용된다. Convex Hull을 찾는 알고리즘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다음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알고리즘이다. Graham's Scan 알고리즘: 입력: 좌표 집합 배열 출력: Convex Hull을 형성하는 ..
윈도우를 평생 사용하다, 맥북을 사용하다 보면 가장 불편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닐 것이다. 아무래도 사람은 익숙한것을 가장 옳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맥북의 한영 전환 방법은 정말 최악인 건 사실이다. 무려 캡스락을 한영키로 사용하라니.... 한글 표현방식 NFD 방식을 사용하는 점보다 더 맘에 안드는 부분이다. 많은 블로그들의 글을 보면 맥북의 한영키를 대게 오른쪽 cmd(커맨드) 버튼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는데 이는 이미 윈도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환영할만한 이야기이다. 다만, karabiner(카라바이너)를 사용하는 점은 빼고 말이다. 카라바이너는 하이시에라 까진 뭐 나쁘진 않았는데, 이후 버전부터는 종료시 다시 부팅되는 현상 등을 비롯한 버그들이 창궐해지기 시작해 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