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 인가 시 자동 부팅 되도록 하는 설정이 도대체 왜 필요한가?
일반적인 사용시에는 전혀 필요 없다.
전원이 인가되자마자 바로 부팅되어야할 필요는 없으니까.
하지만 산업쪽에선 다른 얘기다. 전원이 인가되는 순간 부팅이 되어야할 필요가 왕왕 발생한다.
교육/산업쪽에서 많이 쓰이는 SBC 컴퓨터들을 보면 일반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알아서 부팅된다.
대표적인 예로 오드로이드와 라즈베리파이 등이 있다.
내 경우 회사 업무 중 차량에 Mini PC를 설치해야하는 작업이 있었다.
매립을 해야하는 구조이기에 전원버튼을 따로 빼기가 어렵고 게다가 수동으로 켜준다는건 말도 안되는 상황이였다.
즉, 차에 시동을 걸면 알아서 켜져야했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블랙박스나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비들을 수동으로 키는 경우는 없지 않는가..
확인해보니 다행히 요즘 PC들은 메인보드에 G3 옵션을 제공한다고 한다.
G3 상태란?
G3 상태는 컴퓨터가 완전히 꺼진 상태(전원 차단)에서 전원이 다시 공급될 때 자동으로 켜지도록 하는 설정이다.
원격 부팅으로 유명한 WOL (wake on lan)과는 PC를 깨우는 걸 제외한다면 공통부분은 없다.
설정 방법
결론 : G3 옵션을 S0 로 설정한다.
- PC 부팅 시 BIOS/UEFI 진입
- 전원을 켜고 제조사별 BIOS 진입 키를 연타
- DEL : 대부분의 데스크톱 메인보드
- F2 : ASUS, ASRock, MSI 등
- F10 : HP
- F12 : 일부 Lenovo, Dell
- ESC : 일부 메인보드
- 전원을 켜고 제조사별 BIOS 진입 키를 연타
- 전원 관리 옵션(Power Management) 또는 부트 옵션 (Boot) 이동
- 메뉴에서 아래 항목의 옵션들 중 하나를 찾음
- Advanced → Power Management Setup
- Advanced → ACPI Configuration
- Boot → State After G3
- change Wake-up State
- 메뉴에서 아래 항목의 옵션들 중 하나를 찾음
- 설정 변경 (세 가지 옵션이 존재할 수 있음)
- S0 (Power On) → 전원 공급 시 자동 부팅
- Last State → 전원 차단 전의 상태로 복원 (꺼져 있었다면 꺼진 상태 유지)
- S5 (Power Off) → 전원 공급 후에도 꺼진 상태 유지
- 설정 저장 후 종료
- 변경 사항 저장(Save & Exit) 후 재부팅
설정 예시

생각해보니 Mac Mini M4 pro 전원 스위치 위치가 좋지 못했는데, 이걸 활용해서 키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Ventoy: USB 하나로 모든 OS 설치, 멀티부팅의 신세계 (1) | 2025.02.24 |
---|---|
ASRock Desk mini X600 바이오스 업데이트부터 설정까지 ( 내돈내산 ) (0) | 2025.02.21 |
카카오 이벤트 '춘식이 복주머니' 참가 후기 (1) | 2024.12.26 |
연말에 아들과 함께 보육원에 컴퓨터 기부 (0) | 2024.12.17 |
전원 인가 시 자동 부팅 되도록 하는 설정이 도대체 왜 필요한가?
일반적인 사용시에는 전혀 필요 없다.
전원이 인가되자마자 바로 부팅되어야할 필요는 없으니까.
하지만 산업쪽에선 다른 얘기다. 전원이 인가되는 순간 부팅이 되어야할 필요가 왕왕 발생한다.
교육/산업쪽에서 많이 쓰이는 SBC 컴퓨터들을 보면 일반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알아서 부팅된다.
대표적인 예로 오드로이드와 라즈베리파이 등이 있다.
내 경우 회사 업무 중 차량에 Mini PC를 설치해야하는 작업이 있었다.
매립을 해야하는 구조이기에 전원버튼을 따로 빼기가 어렵고 게다가 수동으로 켜준다는건 말도 안되는 상황이였다.
즉, 차에 시동을 걸면 알아서 켜져야했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블랙박스나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비들을 수동으로 키는 경우는 없지 않는가..
확인해보니 다행히 요즘 PC들은 메인보드에 G3 옵션을 제공한다고 한다.
G3 상태란?
G3 상태는 컴퓨터가 완전히 꺼진 상태(전원 차단)에서 전원이 다시 공급될 때 자동으로 켜지도록 하는 설정이다.
원격 부팅으로 유명한 WOL (wake on lan)과는 PC를 깨우는 걸 제외한다면 공통부분은 없다.
설정 방법
결론 : G3 옵션을 S0 로 설정한다.
- PC 부팅 시 BIOS/UEFI 진입
- 전원을 켜고 제조사별 BIOS 진입 키를 연타
- DEL : 대부분의 데스크톱 메인보드
- F2 : ASUS, ASRock, MSI 등
- F10 : HP
- F12 : 일부 Lenovo, Dell
- ESC : 일부 메인보드
- 전원을 켜고 제조사별 BIOS 진입 키를 연타
- 전원 관리 옵션(Power Management) 또는 부트 옵션 (Boot) 이동
- 메뉴에서 아래 항목의 옵션들 중 하나를 찾음
- Advanced → Power Management Setup
- Advanced → ACPI Configuration
- Boot → State After G3
- change Wake-up State
- 메뉴에서 아래 항목의 옵션들 중 하나를 찾음
- 설정 변경 (세 가지 옵션이 존재할 수 있음)
- S0 (Power On) → 전원 공급 시 자동 부팅
- Last State → 전원 차단 전의 상태로 복원 (꺼져 있었다면 꺼진 상태 유지)
- S5 (Power Off) → 전원 공급 후에도 꺼진 상태 유지
- 설정 저장 후 종료
- 변경 사항 저장(Save & Exit) 후 재부팅
설정 예시

생각해보니 Mac Mini M4 pro 전원 스위치 위치가 좋지 못했는데, 이걸 활용해서 키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Ventoy: USB 하나로 모든 OS 설치, 멀티부팅의 신세계 (1) | 2025.02.24 |
---|---|
ASRock Desk mini X600 바이오스 업데이트부터 설정까지 ( 내돈내산 ) (0) | 2025.02.21 |
카카오 이벤트 '춘식이 복주머니' 참가 후기 (1) | 2024.12.26 |
연말에 아들과 함께 보육원에 컴퓨터 기부 (0) | 2024.12.17 |